학습목표
- 클라우드 서비스 체계를 분류할 수 있다.
- 클라우드 서비스의 핵심 개념과 형태, 장단점을 이해할 수 있다.
-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의 종류를 이해할 수 있다.
학습내용
- 클라우드 서비스 체계
- 클라우드 서비스 비교
-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
클라우드 컴퓨팅은
→ 자신의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가상화 된 컴퓨터시스템 리소스(IT 리소스)를 요구하는 즉시 제공 (on-demand availability) 받아 사용하는 것이다.
IaaS, PaaS, SaaS에 대한 설명을 길게 함
→ 이건 나도 일단 구두로 추가 설명 하도록 하고, 아예 별도 페이지를 하나 만들어야겠음..
클라우드의 장점
- 자원 활용성 → 수강신청할때만 엄청 많이 쓰는데.. 수강신청할 때를 대비해서 모든 자원을 구비한다? → 클라우드는 그럴 필요 없음
- 운영 효율 → 직접 운영하지 않아도, 알아서 해주는게 많음
- 비용 효율 → 쓴만큼만 내면 되니까. 안쓸때는 돈나가지 않음
클라우드의 단점
- 늘 켜있어야 되고, 늘 많이 쓰고 → 결국 클라우드 쓰는게 더 비쌀 수도 있음. 잘 계산해서 쓰도록.
- 법적으로, 정책적으로 데이터의 위치가 정해져 있으면 쓰기 어려움.
- 클라우드 업체에서 제공되지 않는 매우 특이한 서비스/구조를 사용하려 한다면. 클라우드 환경에서 적용하기 어려울 것임.
주요 클라우드 서비스
제일 잘나가는거 → AWS
한때는 AWS 혼자서도 50% 이상 했었지 → 뉴스 참고
2인자 → Microsoft Azure
지금은 AWS + Azure로 전체 시장 50% 이상임 → 뉴스 참고
3인자 → Google Cloud Platform
나머지는 쩌리..
국내 서비스로 '네이버 클라우드'랑 'kt 클라우드'가 언급됨..
Add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