학습목표
- AWS에서 EC2 인스턴스 유형 설정, 스토리지 추가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인스턴스 생성할 수 있다.
- EC2 인스턴스 생성 실습을 할 수 있다.
학습내용
- EC2 인스턴스 생성 실습
이미 패스트캠퍼스 강의때 직접 한번 해봤던거라 뭐 어렵진 않겠져!!!? ^^
강의 내용 자체도 딱 EC2 인스턴스 생성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쭉 진행해보고 끝입니다.
이미 몇 번 해본 것일꺼라 굳이 실습까지 진행해볼 필요는 없을 거같고 강의만 한번 쭉 들어보도록 하죵
일단 간단히 AWS 홈페이지에서 EC2 소개 확인하고 시작함
- 프리티어 소개
- vCPU / 메모리 등 → 성능 따라 가격이 올라감
- OS(AMI) 별로도 비용이 다음. ex. 윈도우는 더 비쌈 = OS비용
아래 실습 과정의 지속을 위해,
→ 관리 콘솔 로그인 → 일단 root 계정으로 로그인 함 + MFA → EC2 서비스 클릭
단계별 EC2 생성
1단계. AMI선택 = OS 선택
- 프리티어 여부 확인 하세요. 프리티어 아니면 OS 사용비용도 붙을 것임
2단계. 인스턴스 유형
- 이 단계에서 CPU, 메모리, 네트워크등을 고려하여 인스턴스 유형 선택 가능
- 프리티어는 t2.micro뿐이라 t2.micro 선택할 것임.
3단계. 세부 정보
- 인스턴스 몇개 만들건지
- 스팟 인스턴스 써볼래..?
- VPC 설정은 어찌 할지 (단계 6에서 설정 예정임)
- 종료 방식 → 중지 / 종료(=삭제)
- 종료 방지 → 실수로 VM이 삭제되는 것 방지. 예기치못한, 이를테면 블루스크린 뜨는 바람에 VM을 종료시켰는데, 그 바람에 아예 VM이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
- 모니터링 → 일부 무료로 제공되는 부분 있음. 근데 여기서 체크박스 체크하면 추가 요금 발생. 하지만 더 다양한 지표 확인 가능하게 됨
4단계. 스토리지 추가
- EBS 추가 → 용량 설정. (AMI의 최소 요구 사이즈보다는 커야됨 / 프리티어는 30GB까지) / 스토리지를 여러개 더 추가 붙일 수 도 있음 (=새 볼륨 추가)
→ 여기 강의 예시에선 gp2를 선택하는데, gp2스토리지는 EC2로 치면 t타입 같은것임. 권장 성능이 있고, 덜쓰면 크레딧 쌓이고, 더 쓰면 깍이고...
- 종료시 삭제 → 삭제하지 않으면 계속 돈 나가게 됨
5단계. 태그
→ 검색, 분류 등을 위해
6단계. 보안 그룹 (= 일종의 방화벽 같은거)
- 새 보안 그룹 생성 → 새로 규칙을 만들어 보자..
- 원격 접속용 ssh - 22번 포트 / 웹 서비스용 http - 80번 포트 등 외부와 통신되어야 하는 부분에 대해 설정 필요
- 소스 = 해당 포트 설정을 적용할 대상 서버의 IP 주소
- ex. 유형 HTTP , 포트 80을 소스 0.0.0.0/0으로 설정하면 / 소스는 모든곳. 즉 아무데서나 → 포트 80으로 들어갈 수 있다.
- ex. 유형 SSH, 포트 22를 172.18.0.3/32로 설정하면 / 소스는 딱 하나의 IP주소. 172.18.0.3이고 → 이 시스템에서 포트 22번으로 SSH 접속 가능함
- 즉, 열려는 포트 + 이 포트를 어디 대상으로 열어줄지
7단계. 시작 검토 → 시작하기
- 입력한 정보들 맞는지 확인해보고..
- 인스턴스 시작
- 인스턴스 시작된 것 확인할 수 있게 처음 소개 페이지가 뜰 것이고 → 그 페이지에서 키페어를 받을 수 있음
- 키페어 생성 & 내려받기 → 키페어가 있어야만 초기에 로그인 가능함.
Add Comment